남말루쿠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말루쿠 공화국(RMS)은 1950년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남말루쿠 지역에서 선포된 미승인 국가이다. 이 나라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KNIL)에서 복무한 군인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었으며, 네덜란드 정부의 지원 부족에 대한 불만과 인도네시아 정부에 대한 불신을 배경으로 독립을 추구했다. RMS는 암본에서 인도네시아 군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망명 정부는 네덜란드에서 계속 활동하며 테러 공격을 감행하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 RMS 운동은 자치권 획득으로 목표를 수정했으며, 인도네시아 내에서는 분리주의 운동으로 간주되어 감시를 받고 있다. RMS는 국기, 국장, 국가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도 네덜란드와 인도네시아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루쿠주 - 반다 제도
반다 제도는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에 위치한 군도로, 과거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칼데라 지형을 보이며, 17세기 육두구 무역을 둘러싼 학살 사건과 쟁탈전이 벌어졌고, 현재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주민들이 거주한다. - 말루쿠주 - 스람섬
스람섬은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중앙 몰루카인들의 조상 고향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동식물과 복잡한 지질 구조를 가진 곳으로, 행정적으로는 세 개의 군으로 나뉘고 유럽 세력의 식민 지배를 거쳐 현재는 이슬람교와 기독교 신자가 많으며 코프라, 수지, 사고, 어류, 석유 등을 생산한다. - 인도네시아의 분리주의 - 파푸아 분쟁
파푸아 분쟁은 파푸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사회적 갈등을 포괄하는 용어이며, 다양한 역사적 배경과 복잡한 이해관계를 가지며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인도네시아의 분리주의 - 서파푸아 공화국
서파푸아 공화국은 인도네시아에 편입된 서뉴기니에서 독립을 추구하며 수립을 선언한 여러 임시 정부 및 공화국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자유 파푸아 운동 등을 중심으로 독립 운동이 지속되고, 서멜라네시아 공화국, 서파푸아 연방 공화국 등의 수립 선언과 서파푸아 통합 해방 운동의 활동을 통해 독립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 네덜란드령 동인도 - 물타툴리
물타툴리는 네덜란드 작가 에두아르트 더웨스 데커의 필명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에서의 공무원 경험을 바탕으로 식민지 행정의 부패와 착취를 비판하는 《맥스 하벨라르》를 발표하고 식민주의 폐해를 폭로한 사회 비판적인 작가이다. - 네덜란드령 동인도 - 아체 전쟁
아체 전쟁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네덜란드가 아체 술탄국의 천연자원 확보를 위해 벌인 무력 충돌로, 아체인들의 끈질긴 저항으로 네덜란드의 지배권 확립에도 불구하고 저항이 지속된 전쟁이다.
남말루쿠 공화국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남말루쿠 공화국 |
현지 명칭 | id: Republik Maluku Selatan nl: Republiek der Zuid-Molukken |
일반 명칭 | 남말루쿠 |
지위 | 인정받지 못한 국가 (미승인 국가); 1966년 이후 망명 정부 |
시대 | 탈식민지 시대 |
시작일 | 1950년 4월 25일 |
종료일 | 1963년 12월 2일 |
사건 | 망명 |
망명일 | 1966년 4월 12일 |
![]() | |
![]() | |
![]() | |
국가 모토 | (메나-무리아) |
국가 모토 (번역) | 하나를 위하여, 모두를 위하여 |
국가 | 말루쿠, 나의 조국 |
수도 | 암본 |
공용어 | 암본어 네덜란드어 인도네시아어 |
정부 형태 | 공화국, 임시 정부 하 |
지도자 직함 | 대통령 |
초대 대통령 | 요하니스 마누후투 |
초대 대통령 임기 시작 | 1950년 |
2대 대통령 | 크리스 소우모킬 |
2대 대통령 임기 | 1950년–1966년 |
3대 대통령 | 요한 마누사마 |
3대 대통령 임기 | 1966년–1992년 |
4대 대통령 | 프란스 투투하투네와 |
4대 대통령 임기 | 1993년–2010년 |
5대 대통령 | 존 와틸레테 |
5대 대통령 임기 시작 | 2010년–현재 |
2. 역사
인도네시아 독립 혁명 당시, 네덜란드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KNIL)을 해산해야 했고,[7] 원주민 군인들은 제대하거나 인도네시아 공화국 군대에 합류해야 했다. 그러나 무슬림이 주축인 공화국 지도부에 대한 깊은 불신으로 인해, 개신교 암본인들은 인도네시아 군에 복무하는 것을 꺼려 소수만이 합류했다. 해산 과정은 복잡했고, 주권 이양 2년 후인 1951년에도 모든 군인이 제대한 것은 아니었다. 네덜란드는 식민지 군대를 해산하라는 국제적 압박에 시달렸고, 이들을 일시적으로 네덜란드 정규군에 편입시켜 자바에서 제대시키려 했다. 하지만 KNIL 정책에 따르면 군인들은 계약 종료 시 제대 장소를 선택할 권리가 있었기에, 남말루쿠 군인들은 이에 불만을 가졌다.
새로운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정치 상황은 불안정했고, 연방제 또는 중앙 집권적 국가 형태에 대한 논쟁은 암본 출신 전 KNIL 병사들이 연루된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1950년 암본에서 남말루쿠 공화국(인도네시아어: RMS, Republik Maluku Selatan)이 선포되었다. RMS는 암본인과 전 남말루쿠 KNIL 군인들 사이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남말루쿠 밖에 있던 남말루쿠 군인들은 암본에서 제대할 것을 요구했으나, 인도네시아는 RMS가 진압되기 전까지 네덜란드가 이들을 암본으로 수송하는 것을 거부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RMS가 암본에서 진압되자, 군인들은 세람에서 제대할 것을 요구했으나, 이 역시 인도네시아에 의해 저지되었다.
2. 1. 초기 정착민
몰루카 제도의 원주민은 서파푸아, 동누사텡가라, 동티모르와 같은 인근 섬과 유사했다. 이들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파푸아인, 그리고 대만을 거쳐 필리핀에서 온 오스트로네시아계 정착민의 조상이었다. 최초의 정착민은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오스트레일리아계였다.오늘날 많은 말루쿠 부족은 여전히 민족적으로 멜라네시아인이며 원주민을 밀접하게 대표한다. 이들 대부분은 산악 지역에 거주하는 고지대 공동체로 간주될 수 있다. 반면, 해안 지역의 대부분은 원주민이 후기 오스트로네시아 이주와 혼합되면서 인구 구성에 변화가 있었다. 궁극적으로 오늘날의 몰루카인은 멜라네시아계 부계와 오스트로네시아계 모계 혈통을 다양하게 갖게 되었다. 이 지역은 폴리네시아 확장의 기원으로 널리 여겨지며, 사람들의 유전자 구성, 문화 및 언어적 배경, 그리고 아웃리거 카누(쌍동선 및 삼동선) 기술은 이를 더욱 뒷받침한다.
2. 2. 유럽의 남말루쿠 정복
대항해 시대 유럽 상인들은 정향과 육두구 같은 귀중한 향신료를 찾아 말루쿠 제도로 몰려들었다. 이 향신료들은 금과 같은 가치를 지녔기 때문에,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 네덜란드 상인들은 서로 향신료 무역을 독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했다.[2] 결국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말루쿠 제도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으로 떠올랐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군사력과 외교술을 적절히 활용하여 북말루쿠에서는 간접 통치를, 남말루쿠에서는 직접 통치를 확립했다.[3]
17세기와 18세기 대부분 동안 남말루쿠인들은 네덜란드의 지배에 맞서 싸웠다. 반다 제도는 1621년 원주민들이 몰살되거나 추방당하면서 저항이 꺾였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동 세람 섬의 상인들을 억압하기 위해 다른 남말루쿠 섬 출신 전사들을 동원하여 '홍기' 습격 원정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집과 배가 불타고, 환금 작물이 뿌리 뽑혔으며, 많은 재산이 약탈당했다. 살아남은 동 세람인들은 모든 것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했고, 두 세기 동안의 저항 속에서 점점 더 가난해졌다. 그러나 그들의 독립적인 무역망은 완전히 파괴되지 않았다.[3]
1780년부터 1802년까지 세람 사람들은 북말루쿠, 파푸아, 영국군과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티도레 술탄의 망명자였던 저항 지도자 누쿠 왕자는 세람에 자리를 잡고 북말루쿠와 남말루쿠를 통합하려 했다. 그의 습격자들은 네덜란드 세력권에 있던 남말루쿠 섬들을 공격했다.[4] 그러나 1802년 영국이 물러나면서 그의 계획은 좌절되었고, 네덜란드는 지배력을 회복했다.[3]
19세기에도 말루쿠 섬 주민들은 네덜란드 식민 지배에 맞서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다. 사파루아 섬에서는 1816년 파티무라가 네덜란드 요새를 점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파티무라는 영국군 하사 출신으로, 섬이 네덜란드에 반환되자 반란을 이끌었다. 그러나 바타비아에서 파견된 네덜란드 증원군에 의해 반군은 체포되었고, 파티무라는 1817년에 처형되었다.
2. 3. 인도네시아 독립과 남말루쿠 공화국 선포
인도네시아 독립 혁명 당시, 네덜란드는 재건된 KNIL을 해산해야 했다.[7] 원주민 군인들은 제대하거나 인도네시아 공화국 군대에 합류해야 했는데, 자바 출신 무슬림이 주축인 공화국 지도부에 대한 깊은 불신으로 인해 개신교 암본인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선택이었고, 소수만이 인도네시아 군에 복무를 선택했다. 해산은 복잡한 과정으로 밝혀졌으며, 주권 이양 2년 후인 1951년에도 모든 군인이 제대한 것은 아니었다. 네덜란드는 식민지 군대를 해산하라는 국제적 압박에 시달렸고, 이들을 일시적으로 네덜란드 정규군에 편입시켜 자바에서 제대시키려 했다. KNIL 정책에 따르면 군인들은 계약 종료 시 제대할 장소를 선택할 권리가 있었기에, 이는 남말루쿠 군인들의 불만을 샀다.새로운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정치 상황은 불안정했고, 특히 연방제 또는 중앙 집권적 국가 형태에 대한 논쟁은 암본 출신 전 KNIL 병사들이 연루된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1950년 암본에서 남말루쿠 공화국(인도네시아어: RMS, Republik Maluku Selatan)이 선포되었다. RMS는 암본인과 전 남말루쿠 KNIL 군인들 사이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그 결과, 남말루쿠 밖에 있던 남말루쿠 군인들은 암본에서 제대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는 장기간의 군사적 투쟁을 우려하여 RMS가 진압되기 전까지 네덜란드가 이 군인들을 암본으로 수송하는 것을 거부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RMS가 암본에서 진압되자, 군인들은 그곳에서 제대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들은 인도네시아에 대한 저항 세력이 남아있던 세람에서 제대할 것을 요구했으나, 이 역시 인도네시아에 의해 저지되었다.
2. 4.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KNIL)과 남말루쿠 군인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KNIL)에서 복무한 군인들 중 상당수는 암본과 주변 남말루쿠 제도 출신이었다. 16세기에 유럽의 영향을 일찍 받은 이 지역은 개신교 선교가 성공적이었고, 주민의 절반 가량이 칼뱅주의 개신교를 믿었다.[5]1605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무장 상인들이 암본섬의 포르투갈 요새를 점령하면서 남말루쿠는 VOC의 첫 거점이 되었다. VOC 시대에 말루쿠인들은 VOC와 독점 무역을 하고 정향 생산에 집중하면서 식민지 구조에 의존하게 되었고, 식민지 군대에서 직업을 찾았다. 암본인들은 용맹하고 충성스러운 군인으로 평가받았으나, 다른 인도네시아인들에게는 인기가 없었다.[5]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기에 대부분의 말루쿠 군인들은 포로로 수용되었다가 풀려났으나, 이들이 저항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자 일본은 다시 이들을 억압했다. 말루쿠 군인들은 연합군을 돕는 지하 저항 조직을 만들었고, 일본 헌병대는 이들을 고문하고 참수하는 것으로 대응했다.[5]

일본 항복 후, 말루쿠 군인들은 인도네시아 혁명가들에게도 저항했다. 이들은 베르시아프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 민병대와 소규모 분쟁에서 승리했다. 암본에서 RMS 운동 진압 과정에서 인도네시아 군(TNI)은 말루쿠 특수 부대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고, 이는 TNI가 자체 특수 부대를 창설하는 계기가 되었다.[6]
남말루쿠 공화국(RMS) 선포 당시 암본에는 1,080명의 암본인 출신 KNIL 군인을 포함해 1,739명의 KNIL 군대가 주둔해 있었고, 이들은 RMS 무장세력(APRMS)의 핵심이 되었다. 1950년 9월 28일, 인도네시아 연방군(APRIS)의 암본 침공이 시작되었고, APRMS는 암본 시에서 퇴각하여 게릴라전을 벌였다. 1950년 11월 5일 암본 시는 함락되었고, RMS 정부는 세람으로 이동하여 게릴라전을 이어갔다.
2. 5. KNIL 해체와 남말루쿠 군인들의 네덜란드 이주
인도네시아 독립 혁명 동안, 네덜란드는 부활한 KNIL을 해산해야 했고,[7] 원주민 군인들은 제대하거나 인도네시아 공화국 군대에 합류하는 선택을 해야 했다. 무슬림이 주를 이루는 공화국 지도부에 대한 깊은 불신 때문에, 이는 개신교 암본인들에게 극도로 어려운 선택이었고, 소수만이 인도네시아 군에 복무하기로 선택했다. 해산은 복잡한 과정이었고, 주권 이양 2년 후인 1951년에도 모든 군인이 제대하지 못했다. 네덜란드는 식민지 군대를 해산하라는 국제적 압력에 시달렸고, 이들을 일시적으로 정규 네덜란드 군대의 일부로 만들었으며, 자바에서 이들을 제대시키려 했다. 그러나 남말루쿠 군인들은 KNIL 정책에 따라 계약 종료 시 제대할 장소를 선택할 권리가 있었기에 불만을 가졌다.1950년 암본에서 독립된 남말루쿠 공화국(인도네시아어: RMS, Republik Maluku Selatan)이 선포되었다. RMS는 암본인과 전 남말루쿠 KNIL 군인들 사이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남말루쿠 밖에 있던 남말루쿠 군인들은 암본에서 제대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는 RMS가 진압되지 않는 한 네덜란드가 이 군인들을 암본으로 수송하는 것을 거부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RMS가 암본에서 진압되자, 군인들은 인도네시아에 대한 저항의 잔존 세력이 여전히 존재했던 세람에서 제대할 것을 요구했지만, 이 역시 인도네시아에 의해 가로막혔다.

결국 네덜란드 정부는 남은 병력과 그 가족들을 네덜란드로 수송하기로 결정했다. 그들은 도착과 동시에 제대되었고, 말루쿠 제도로 돌아갈 수 있을 때까지 '임시로' 캠프에 수용되었다.[8] 이 방식으로 약 12,500명이 네덜란드에 정착하게 되었다. 네덜란드 정부는 말루쿠인들을 인도네시아로 귀환해야 하는 임시 거주자로 간주하고, 주로 시골 지역과 작은 마을 근처의 캠프에 '임시로' 수용했다.[10] 이들을 관리하기 위해 '암본인 관리 위원회'(CAZ)가 설립되었고, 캠프에는 이전 나치의 통과 캠프인 베스터보르크도 포함되었다.
2. 6. 네덜란드 내 남말루쿠인 사회
초기 네덜란드 정부는 임시 거주 정책을 폈고, '암본인 관리 위원회'(CAZ)를 통해 이들을 관리했다. 캠프 내 고립된 생활은 남말루쿠 공화국(RMS) 운동을 지속시켰고, 네덜란드 사회와의 갈등을 불렀다. 1970년대 남말루쿠 공화국인들은 테러 활동을 벌였는데, 이는 RMS 운동 내부 분열과 네덜란드 사회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었다. 1970년 바세나르의 인도네시아 대사 관저 습격[12]을 시작으로, 1975년 네덜란드 열차 인질극, 1977년 네덜란드 열차 인질극, 마을 학교 인질극[12] 등이 이어졌다. 공격 목표는 불분명했지만, RMS 운동 내부 단결 회복과 정치적 요구를 내세웠다.[12] 네덜란드 정부는 초기에는 절제된 대응을 보였으나, 1977년 인질극 이후 군사력을 사용했다.[12] 몰루카 공동체 내에서 테러 지지는 줄어들었고, 아센 지방 정부 청사 습격[12]에서는 지지를 얻지 못했다.2. 7. 2세대 및 3세대 남말루쿠인
테러 폭력 사태가 종식될 무렵, 네덜란드 정부는 몰루카인들을 임시 거주민으로 보지 않게 되었지만, 미래 정책 논의를 위한 소통 채널은 부족했다. 사회적으로 학업 성취도는 낮았고 실업률은 높았다. 1976년에는 정부 정책을 논의하기 위한 IWM(네덜란드 약자: Inspraakorgaan Welzijn Molukkers) 플랫폼이 형성되었고, 1978년 네덜란드 정부는 몰루카인의 사회 참여 강화를 위한 백서를 의회에 보냈다.[13]IWM은 공동 프로젝트를 위한 소통 창구 역할을 했다. 몰루카인에게 정부 서비스 일자리를 제공하는 계획이 그 예시이다. 높은 실업률 해소가 주요 목표였고, 몰루카인이 적었던 노동 시장 부문을 개방하는 것이 부차적 목표였다. 고용, 교육, 사회 복지가 특히 신세대의 상황 개선에 중요하다는 인식이 긍정적인 발전이었다. 2세대는 네덜란드 사회에 더 적응했고, 1980년 이후 노동 시장과 학교 시스템 참여가 긍정적으로 발전했다. 교육 성취 수준이 상승하고 실업률이 낮아졌으며, 직업의 수준도 높아졌다. 2세대 몰루카인들은 '군인 세대'에 비해 큰 도약을 이루었다.[13]
현재 네덜란드의 몰루카인 상황은 1970년과 매우 다르다. 모든 몰루카인은 네덜란드 시민이다. 몰루카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 사람은 약 40,000명이다.[14] 이들은 몰루카 섬과 자신을 동일시하지만, 네덜란드 사회 통합에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몰루카인들은 '일반적인 이민자'가 되었다.[15]
몰루카인의 네덜란드 사회 통합은 테러 급진화를 막았지만, 1990년대까지 네덜란드는 남말루쿠 공화국 독립 선언 기념 행사 때마다 식민지 시대의 트라우마를 겪었다.[16][17]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몰루카인 음악가들은 인도 공동체 출신 예술가들과 함께 두각을 나타냈다. 1980년대에는 마사다[18]와 같은 밴드가 인기를 얻었다. 마사다의 히트곡 "Sajang e"는 말레이어로 된 노래 중 네덜란드에서 1위를 차지한 유일한 곡이다. 싱어송라이터 다니엘 사훌레카도 남몰루카인 공동체 출신이다.[19] 인도네시아에는 팝스타 글렌 프레들리와 같이 몰루카인 출신 유명 음악가가 많다. 21세기에는 네덜란드의 새로운 세대 남몰루카인들이 전통적인 티파 음악과 차칼레레 춤을 공연하고,[20] 힙합과 같은 현대 음악으로 자신을 표현한다.[21] 축구에서도 시몬 타하마타, 바비 페타, 데니 란드자트, 조반니 판 브론크호르스트 등 많은 남몰루카인들이 이름을 알렸다.
3. 21세기 현황
21세기에도 남말루쿠 공화국(RMS) 독립 운동은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 양쪽에서 계속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남말루쿠인들이 주로 기독교 신자로, 이슬람교가 다수인 다른 지역과 종교적으로 다르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말루쿠 종파 분쟁에서 기독교인들은 독립을 추구한다는 비난을 받았다.[25] 2007년 인도네시아 대통령 방문 때 RMS 지지자들이 깃발을 게양하며 시위를 벌였다.[25] 말루쿠 주권 전선(FKM) 같은 단체가 RMS 깃발을 게양하며 독립을 지지한다.[26] 2020년 RMS 깃발 게양 혐의로 활동가들이 징역형을 선고받았고,[27] 2024년 축구 경기 시청 중 RMS 깃발을 소지한 청소년이 구금되어 논란이 일었다.[28][29]
네덜란드에서는 2010년 RMS 대통령이 된 존 와틸레테가 실용적인 노선을 추구하며 자치권 확보에 주력했다.[23] 그러나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네덜란드 방문을 앞두고 체포 소송을 제기하는 등 강경한 입장도 보였다.[23]
3. 1. 네덜란드 내 RMS 운동
2009년, 네덜란드 주재 인도네시아 대사 유누스 에펜디 하비비는 라디오 네덜란드 월드와이드에 망명 중인 남말루쿠 공화국 정부가 더 이상 독립 국가를 추구하지 않아 기쁘다고 말했다. 대사에 따르면, 말루쿠인들은 이미 자치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 상황을 바꿀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그는 완전한 말루쿠 독립을 거부했다.[23] 하비비의 발언은 망명 중인 말루쿠 정부의 신임 대통령으로 지명된 존 와틸레테가 독립 말루쿠 국가가 더 이상 최우선 과제가 아니라고 언급한 데 대한 반응이었다. 비록 독립이 여전히 궁극적인 목표이지만, 그는 아체에서 도입된 것과 유사한 형태의 자치에 만족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은 말루쿠인들 스스로가 주도권을 갖는 것입니다."라고 언급했다.존 와틸레테는 2010년 4월 RMS(남말루쿠 공화국) 대통령이 되었다.[23] 그는 네덜란드에 거주하는 말루쿠인 2세대로, 이전 지도자들보다 더 실용적인 인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대통령 유도요노가 1970년 이후 처음으로 네덜란드를 국빈 방문하기 하루 전, 와틸레테는 유도요노가 입국할 경우 체포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법률 전문가들은 이 조치가 무의미하고 성공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평가했지만, 유도요노는 다음날 방문을 취소했다.[23]
3. 2. 인도네시아 내 RMS 운동
남말루쿠인들은 주로 기독교 신자이며, 대부분이 이슬람교 신자인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과는 다르다. 그러나 남말루쿠 공화국은 당시 이 지역의 일부 말루쿠 무슬림들의 지지도 받았다. 오늘날 남말루쿠 공화국(RMS)과 분리주의적 목표에 대한 기억은 인도네시아에서 여전히 남아있다. 1999년~2002년의 말루쿠 종파 분쟁 기간 동안 말루쿠 기독교인들은 무슬림 단체로부터 독립을 목표로 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러한 비난은 무슬림들이 싸우도록 자극하는 데 유용했으며(라스카르 지하드), 일부 해외 말루쿠 기독교 단체가 RMS 깃발을 들었다는 사실은 이러한 상황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25]말루쿠에서는 말리노 II 협정이 체결되어 갈등을 종식시키고 말루쿠에 평화를 조성하며, 말루쿠인들에게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단일 국가의 통일과 주권을 위협하는 남말루쿠 공화국(RMS)을 비롯한 모든 종류의 분리주의 운동을 거부하고 반대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2007년 여름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암본 방문 기간 동안 RMS 지지자들은 말루쿠 전쟁 춤을 추고 RMS 깃발을 게양하여 행사를 방해했다.[25]
1999년 이후 말루쿠 주권 전선(FKM)이라는 새로운 조직이 암본 섬에서 활동하며 무기를 비축하고 공공 장소에서 RMS 깃발을 게양했다. FKM 조직의 지도자인 알렉스 마누푸티는 미국으로 도피했지만 독립을 계속 지지하고 있다.[26]
2020년 10월 26일, 3명의 활동가가 RMS 깃발을 게양한 혐의로 반역죄로 기소되어 3년형을 선고받았다.[27]
2024년 5월 9일, 15세 청소년 코이더 알리 링기르푸랸(일명 "데데")이 2024 파리 올림픽 인도네시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과 기니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플레이오프 경기를 암본 광장에서 함께 시청하는 동안 남말루쿠 공화국의 ''베낭 라자'' 깃발을 소지한 혐의로 말루쿠 지역 경찰에 구금되었다. 이 사건은 인도네시아, 특히 말루쿠 주와 네덜란드 말루쿠 디아스포라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28][29] 남말루쿠 공화국 정부는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15세 청소년의 체포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인도네시아 정부를 규탄했다.[30]
4. 망명
1950년 11월, 암본에서 남말루쿠 공화국(RMS) 반군 거점이 인도네시아군에 함락되면서 RMS 정부는 섬에서 탈출, 네덜란드에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31] 1962년까지 세람에서 소규모 게릴라전이 계속되었으나, 결국 RMS는 네덜란드로 망명하게 되었다. 이듬해 약 12,000명의 몰루카 군인과 그 가족들이 네덜란드로 이주하여 "남말루쿠 공화국" 망명 정부를 구성했다.
망명 기간 동안 RMS 운동의 일부는 네덜란드에서 테러를 일으켰다. 이는 네덜란드 정부의 지원 부족에 대한 좌절감 때문이었다고 여겨진다.[32] 1970년 바세나르에 있는 인도네시아 대사관저 습격으로 네덜란드 경찰관이 사망한 것을 시작으로, 1975년 네덜란드 열차 인질극과 암스테르담 인도네시아 영사관 인질 사건이 발생했다. 열차 인질극에서는 3명이 처형되었고, 영사관에서는 탈출을 시도하던 인도네시아인 1명이 사망했다. 1977년에는 데 푼트 열차 납치와 보벤스밀데 초등학교 인질극이 발생, Bijzondere Bijstands Eenheid (BBE) 해병대에 의해 진압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6명의 납치범과 2명의 인질이 사망했다. 1978년 아센 지방 정부 청사 인질극 역시 BBE 해병대에 의해 종결되었다.
RMS 운동 내부 분열과 네덜란드 사회에 대한 폭력 사태는 1970년대에 절정에 달했다. 초기 테러 공격에 대한 네덜란드의 절제된 반응은 오히려 몰루카 공동체 내 '행동파'의 명성을 높였고, 추가적인 테러를 부추겼다. 그러나 1977년 열차 및 학교 인질극 이후 네덜란드 정부는 군사력 사용 외 다른 방법이 없다고 판단, 강경 진압에 나섰다. 몰루카 공동체 내에서도 급진주의에 대한 지지가 줄어들면서, 1978년 아센 지방 정부 청사 인질극은 큰 지지를 얻지 못했다.
1980년대 이후로는 이러한 테러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 전 인도네시아 대사이자 인도네시아 제3대 대통령의 동생인 유누스 에펜디 하비비는 독립 국가 목표를 중단한다면 1세대 몰루카인들의 고향 귀환을 돕겠다고 밝혔다.[33][34]
5. 역대 대통령
크리스 소모킬은 1954년 세람 섬에서 무장 게릴라 투쟁을 이끌었던 남말루쿠 공화국(RMS) 대통령이었다. 그는 1962년 12월 2일 세람에서 인도네시아 군에 체포되어 자카르타 군사 재판소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수하르토 대통령 통치하인 1966년 4월 12일에 처형되었다.[1]
요한 마누사마는 1966년부터 1993년까지 망명 정부의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1] 1993년부터 2010년까지는 프란스 투투하투네와가 국가 원수를 맡았으며, 망명 정부는 더 이상 네덜란드나 인도네시아에 대한 폭력적인 행동을 옹호하지 않는다.[1] 망명 정부 대통령은 젊은 세대가 남말루쿠를 지원하고 발전시키려면 네덜란드에서 교육과 개발 기회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1]
존 와틸레테는 2010년 4월 RMS 대통령이 되었다.[1] 그는 네덜란드에서 성장한 몰루카인 2세 출신으로는 처음이며, 이전 지도자들보다 더 실용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1]
5. 1. 국기
남말루쿠 공화국(RMS)의 국기는 세로로 파란색, 흰색, 녹색, 빨간색이 1:1:1:6 비율로 배열되어 있으며, 전체 비율은 2:3이다. 이 국기는 1950년 5월 2일 오전 10시에 처음 게양되었다.[1] 이틀 후 정부는 국기에 대한 설명을 발표했다.[1] 파란색은 바다와 충성심을, 흰색은 순수함, 평화, 그리고 하얀 해변을, 녹색은 초목을, 빨간색은 조상과 국민의 피를 상징한다.[1]5. 2. 국장
남말루쿠 공화국의 문장은 '폼보'라고 불리는 흰색 몰루카 비둘기를 묘사하고 있다. 흰색 비둘기는 긍정적인 의미와 좋은 징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폼보'는 날개를 반쯤 펼치고 평화의 가지를 부리에 문 채 막 날아오르려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가슴에는 교차된 파랑, 살라와쿠와 창이 새겨져 있다.남말루쿠 공화국의 문장은 문장학에서 '메나 – 모에리아'라는 문구를 사용한다. 이 슬로건은 멜라네시아 몰루카 원어에서 유래되었다. 고대부터 이 문구는 해양 원정 중 노를 젓는 몰루카 전통 배 '코라 코라'의 키잡이와 노꾼들이 노 젓는 박자를 맞추기 위해 외치던 구호였다. 문자 그대로 '앞 – 뒤'를 의미하지만, '나는 간다 – 우리는 따른다' 또는 '하나를 위한 모두 – 모두를 위한 하나'로 번역되기도 한다.
5. 3. 국가
남말루쿠 공화국의 국가는 "말루쿠, 타나 아이르쿠(Maluku, Tanah Airku)"이며, 영어로는 "말루쿠, 나의 조국(Maluku, My Homeland)"으로 번역된다. 이 국가는 크리스 수모킬과 O. 사할레시가 말레이어로 작사했으며, 멜라네시아 몰루카 단어가 혼합되었다.[35]'''원문'''
오 말루쿠, 나의 조국,
나의 핏줄이 흐르는 땅이여.
내 삶이 다하는 날까지
그대에게 헌신하리라.
그대는 숭고한 유산이며
선조들이 굳건히 세운 것이라.
나는 영원히 그대를 받들어
죽는 날까지 숭배하리라.
나는 기억하리라
그대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오 말루쿠, 나의 조국,
나의 조상들의 땅이여.
고난의 길을 통해
그대는 자유를 얻으리라.
그대의 참된 아들딸들은
그대를 위해 피를 흘렸네.
나는 헌신을 맹세하노니
그대의 미래를 지키리라.
무엇보다도 나는 보호하리라
그대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두려움 없이 나아가라, 더 높은 외침이 있으니
내 온 마음으로 외치노라.
정의롭고 진실한 군대처럼
나는 그대를 지키기 위해 달려가리라.
방패와 믿음으로
그리고 무엇보다도 굳건한 회복력으로
나는 희생하고 투쟁하리라.
그대는 나의 요람이기에
무엇보다 나는 기도하리라
우리의 성스러운 외침이 영원히 살아있기를!
'''영어 번역'''
말루쿠, 나의 조국,
나의 고향.
나는 힘을 다해 그대에게 헌신하리라
내가 살아있는 동안.
그대는 나의 위대한 유산이며
무엇보다 숭고하다.
나는 항상 그대를 존경하리라
내 죽는 날까지.
나는 기억 속에 되새기리라
무엇보다도 그대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말루쿠, 나의 조국,
나의 조상들의 땅.
이 고통의 길을 통해
우리는 자유에 도달하리라.
그대의 진정한 아들딸들은
그대를 위해 피를 흘렸네.
나는 헌신을 맹세하노니
그대의 미래를 안전하게 지키리라.
무엇보다 나는 보호하리라
그대의 고통스러운 역사를.
두려움 없이 나아가라, 더 높은 외침이 있으니
나는 온 마음을 다해 외치노라.
나는 정의롭고 진실한 군대처럼
그대를 지키기 위해 달려가리라.
방패와 믿음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굳건한 회복력으로
나는 희생하고 투쟁하리라.
그대는 나의 요람이기에
무엇보다 나는 기도하리라
우리의 성스러운 외침이 영원히 살아있기를!
참조
[1]
웹사이트
UNPO: South Moluccas
https://unpo.org/mem[...]
2008-03-25
[2]
간행물
Integration and Conflict in Indonesia's Spice Islands
https://apjjf.org/20[...]
2017-06-01
[3]
논문
Cross-Cultural Alliance-Making and Local Resistance in the Moluccas during the Revolt of Prince Nuku, c. 1780–1810
KITLV, Journal of Indonesia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2007
[4]
논문
Cross-Cultural Alliance-Making and Local Resistance in the Moluccas during the Revolt of Prince Nuku, c. 1780–1810
KITLV, Journal of Indonesia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2007
[5]
웹사이트
Verzetsmuseum – Stories
http://www.verzetsmu[...]
[6]
문서
This initiative by former KNIL officer Evert Kawilarang developed into the notorious [[Kopassus]] unit.
[7]
웹사이트
De plechtigheden in Djakarta bij de opheffing van het KNIL.
http://www.npogeschi[...]
[8]
문서
The complicated story of the disbanding of the KNIL is set out briefly here. For a more extended analysis see Manuhutu (1987); Steylen (1996: 33-63); van Amersfoort (1982: 101-8). The psychological impact of the dissolution of the KNIL on the Ambonese servicemen is described in Wittermans (1991).
[9]
문서
The history of the Indos and their emigration from Indonesia after World War II is also reflected in interesting ways in the Dutch literature: the circumstances of the repatriation are, for instance, spiritedly evoked in the stories of Springer (2001: 179-239).
[10]
문서
In this article the words Ambonese and Moluccans are used synonymously. This is strictly speaking not correct. The Protestant Ambonese form about 90 per cent of the Moluccans in the Netherlands and have played a decisive role. There is also a small number of Muslim Ambonese and of Moluccans from the islands of Kei and Tanimbar.
[11]
간행물
Who Are These South Moluccans?
https://carnegiecoun[...]
1978-03
[12]
문서
Siahaya (1972) paints a good picture of the mind of a Moluccan terrorist.
[13]
서적
Three generations of Moluccans in the Netherlands.
Het Spinhuis
[14]
서적
Demografische ontwikkeling van de Molukse bevolkingsgroep in Nederland.
[15]
간행물
The waxing and waning of a diaspora: Moluccans in the Netherlands, 1950-2002.
2004
[16]
Youtube
RMS demonstratie 1971
https://www.youtube.[...]
2007-09-13
[17]
Youtube
RMS Demonstration – April 25, 1995
https://www.youtube.[...]
2007-07-04
[18]
웹사이트
Massada
https://www.massada.[...]
[19]
Youtube
Daniel Sahuleka at Java Jazz Festival 2006
https://www.youtube.[...]
2008-01-09
[20]
Youtube
Maluku Tribal Dance
https://www.youtube.[...]
2008-10-19
[21]
Youtube
FURIUZ STYLEZ – KEPALA BATU videoclip (Molukse Rap)
https://www.youtube.[...]
2007-09-06
[22]
웹사이트
Indonesia approves Moluccan change of course
http://www.rnw.nl/en[...]
Rnw.nl
2009-08-17
[23]
웹사이트
Images of 1970 state visit by former President [[Suharto]].
http://beeldbank.nat[...]
[24]
뉴스
Indonesische president zegt bezoek Nederland af
http://www.volkskran[...]
2010-10-05
[25]
웹사이트
Dutch television report
http://cgi.omroep.nl[...]
[26]
웹사이트
Live video footage interview with Alex Manuputty in exile, in the USA.
http://cgi.omroep.nl[...]
[27]
웹사이트
Three activists in Maluku convicted of treason for raising RMS flag
https://www.thejakar[...]
[28]
웹사이트
Ini Kronologis Pelajar SMP Bawa Bendera RMS untuk Semaraki Nobar di Ambon
https://referensimal[...]
Referensi Maluku
2024-05-10
[29]
웹사이트
Jonge RMS-activist in Ambon geslagen en opgepakt na vertoon RMS-vlag tijdens voetbalwedstrijd
https://sakamesemalu[...]
Saka Mese Maluku
2024-05-10
[30]
Instagram
On 9 May 2024, Moluccan youngster Khoider Ali Ringirfuryaan alias Dede was arrested by the occupational Indonesian policeforce, only for holding the national South-Moluccan flag. This is a disgrace, Indonesia. Having a flag is not a crime. Dede needs to be released and returned to his family immediately!
2024-05-10
[31]
문서
Note that its head of state remained C.Soumokil who continued to lead the armed struggle on Ceram.
[32]
웹사이트
Moluccan exiles will settle for autonomy
http://www.rnw.nl/en[...]
Rnw.nl
2009-08-17
[33]
웹사이트
Dutch television interview with Junus Habibie
http://cgi.omroep.nl[...]
[34]
Youtube
Junus Effendi Habibie – Part 2
https://www.youtube.[...]
2008-03-24
[35]
Youtube
MALUKU TANAH AIRKU – LAGU KEBANGSAAN R.M.S. – 25 APRIL 2009 25 04 2009 MENA MURIA APELDOORN
https://www.youtube.[...]
2009-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